2022. 10. 11. 18:51ㆍdocker
plantUml을 마크다운에서 사용하기 위해 vsCode에서 plantUml 플러그인을 설치했다.
미리보기에서 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서버 설정이 필요하다.
서버에서 렌더링해서 png파일을 받아와야하기 때문이다.
vsCode extension setting에서 서버를 추가해 주어야 하는데,
plantUml 오픈 서버를 등록하면 내가 랜더링하는 png파일이 서버에 저장된다.
그래서 localhost 서버를 두어 해결할 수 있는데, 이때 도커를 사용한다.
https://hub.docker.com/r/plantuml/plantuml-server
Docker Hub
hub.docker.com
docker run -d --name plantuml --restart always -p 60000:8080 plantuml/plantuml-server:jetty
추가 옵션 설정을 해서 docker 이미지를 다운받는다.
--name plnatUml은 도커 이미지의 네이밍이다.
--restart always는 docker desktop을 실행시킬 때 마다 container를 항상 재시작하여 같이 띄울 수 있다.
https://blog.leocat.kr/notes/2019/11/20/docker-restart-container-whenever-start-docker-desktop
[Docker] Docker 데몬 시작 시 마다 container 함께 시작시키기
로컬에서 개발할 때 출근 하고 랩탑을 켜고 Docker desktop을 실행시키면 매번 docker run명령을 통해 자주 쓰는 container를 실행시켜줘야 한다. 주로 로컬 DB가 있는 경우 이런 귀찮음이 엄청나다. 이럴
blog.leocat.kr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 postgreSql (0) | 2022.08.14 |
---|---|
스프링부트 도커 이미지 만들기 기초 (0) | 2022.08.03 |